우리를 괴롭히는 JavaScript의 자료형 | var, let, const는 무엇이 다를까
JavaScript는 일본어과 같은 언어다. 쉬워보이면서도 그 속에 나름대로의 엄밀함 때문에, 중급까지 오르기는 쉬우나 생각보다 숙련자가 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. JavaScript를 어렵게 만드는 것은, EventListner의 존재도 있지만, 가장 첫 진입장벽은 다양한 자료형에 있는 것 같다. 프로그래밍을 건물을 짓는 것에 비유해볼 때, 각각의 변수들은 가장 작은 단위의 벽돌로 이해해볼 수 있을 것이다. 대부분의 언어는 이 벽돌에 대해서 차별점을 많이 두지는 않는데, JavaScript라는 언어는 이들에 대해 제법 개성적인 특징들을 부여해놓았다. 다양한 소재의 벽돌로 건물을 지을 수 있겠지만, JavaScript로 건물을 지을 때는, 3가지 소재의 벽돌을 사용하게 되는 것 같다. var을 클레이점토,..
CRUD를 중심으로 express와 django 웹프레임워크를 비교해본다
어느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건 간에, CRUD를 중심으로 웹서비스를 구현하는 건 모두 똑같다. 그래서 하나의 웹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면, 다른 웹프레임워크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. API를 설계하는 과정은 결국, GET/POST/PUT/DELETE 요청(읽기, 쓰기, 수정, 삭제)에서 모든 기능이 나오기 때문이다. 다만, 어떤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가, 그리고 어떤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웹서비스를 구축하는가에 따라서 세부적인 부분들이 달라진다. 각 언어별로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들이 존재하지만, 개인적으로는 node.js와 python 환경의 프레임워크를 선호한다. java나 php 계열의 프레임워크가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생각하지만, 안정성 이전에 스타트업쪽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, 서비스를 얼..